경제학자의 한국 현대사 읽기. 저자는 우리 사회가 왜 이렇게 되었을까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 현대사를 되짚어 본다. 이를 통해 한때 대중이 공감하던 문제의식이 이제는 사회 발전을 가로막는 장애로 작용하고 있으며, 변화를 주도하던 집단이 변화를 막아서는 새로운 권위로 바뀌었다고 주장한다.
출처: 은평구립도서관 도서 소개 및 네이버 도서 정보
네이버 블로그 후기
AI 추천 요약 (출처: 네이버 블로그)
다른 사용자들의 블로그 후기를 AI가 요약한 내용입니다. 내용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스포일러 주의)
최기종 시인의 시집 '만나자'와 양우진의 책 "다시 읽는 한국 현대사"는 한국 현대사의 아픔과 변화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시한다. 최기종 시인은 시를 통해 남북통일과 역사적 사건들을 직설적으로 표현하며, 과거와 현재의 아픔을 직시하고 통일과 평화를 노래한다. 그의 작품은 복잡한 수사보다는 솔직한 현실을 드러내며, 한국 민중의 아픔과 여망을 파노라마처럼 그려낸다. 반면, 양우진은 경제 발전과 민주화를 다룬 그의 책에서, 과거의 문제의식이 현재 사회 발전을 저해하는 장애가 되었음을 지적하고, 새로운 정치의 실천과 상대를 부정하지 않는 역사 인식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그는 4.19와 5.16 이후의 경제 및 정치적 변화와 민주화 운동의 성과와 한계를 조명하며, 현재의 저성장, 불평등, 청년실업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한 진보 세력의 새로운 대응을 촉구한다. 두 저작 모두 역사적 상처를 치유하고자 하는 열망과 함께, 한국 사회의 발전을 위한 새로운 길을 모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