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를 되살리는 가장 빠른 지름길은 농업에 있다.그러나 어떤 농업인지가 중요하다!황폐해진 땅을 복원하고 탄소를 줄이는 해결책, 재생농업!탄소를 줄이는 가장 쉽고 빠른 길은 무엇인가갈수록 기후 위기가 심각해져 급기야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이 2023년 7월 27일에 “지구 온난화global warming를 넘어 끓는 지구global boiling의 시대가 도래했다”고 선언할 지경에 이르렀다. 그의 경고처럼 지구는 폭염과 그로 인한 산불로 불타오르고
... 있다. 고온, 가뭄, 폭우, 홍수, 지반 침하, 싱크홀, 도시 열섬, 해수면 상승, 빙산 붕괴 현상은 기후 변화라고 하기엔 너무나 일상적인 현상이 된 듯하다. 이런 최악의 기후 위기의 가장 큰 원인 중의 하나로 탄소 배출을 지목하고 있다. 이에 다양한 탄소 중립 프로그램들이 제시되었고, 많은 이들이 “인간의 사악한 욕심”을 버려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그러나 주지하다시피 (탄소를 소비함으로써 얻는) 막대한 부와 편안한 삶을 단칼에 바꾸고 탄소 배출을 급감시켜 기후 위기를 역전시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울 정도로 요원한 일이 되고 있다.『대지에 입맞춤을Kiss the Ground』은 탄소 배출을 억제하는 것보다 탄소를 모아 가두는 것에 더 많은 관심을 두는 책이다. 저자 조시 티켈Josh Tickell은, “킬링 곡선Keeling Curve”(탄소의 배출량이 겨울에 올라갔다가 여름에 내려가기를 반복하는 현상을 나타내는 그래프)이 말하는 바에 따라 지구가, 정확히 말해선 엄청난 양의 식물이 숨을 쉬며 이산화탄소를 사용한다는 것에 주목한다. 그는, 대기에서 엄청나게 많은 이산화탄소를 끌어당겨 전 세계 이산화탄소 농도를 눈에 띄게 감소시키는 식물과 식물을 지원하는 미생물 군집에서 탄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챈다. 그 식물과 미생물 군집은 인류와 농업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으며, 농업이야말로 대기 중의 탄소를 땅속으로 보내어 가두는 열쇠를 쥐고 있는 것이다.